태블로 따라하기

대리점별 매출 특성을 파악하는 분산형 차트

태블로 그까짓거 껌이지 2019. 8. 29. 12:11

안녕하세요?

오늘은 분산형 차트라는 것을 그려볼 예정입니다.

 

분산형 차트를 그리는 법은 아주아주 쉬운데요.

중요한 건 이렇게 그린 내용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하는 점이겠죠?

그래서 오늘도 차트를 그리는 방법에 대한 내용보다는

그려진 차트를 해석해서 의미를 발견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을 드리려고 합니다.

 

이 차트는 일룸 유통사업팀이 사용하는 것을 응용한 버전입니다.

 

오늘도 우리는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가서 특정 상황에 자신을 '빙의'해볼건데요.ㅎㅎ

2013년도 01월, 일룸 영업부문의 신입사원이 되었다고 생각을 하고 시작하겠습니다.

(우리는 상상하는 거니까 일룸에서 실제로 일하는 내용과는 다를 수 있어요.)

 

신입사원이니, 수습기간인 3개월동안은 태릉묵동점 1개 대리점을 맡게 되었습니다.

대리점 사장님 및 영업 직원분들과는 인사는 다 했는데, 그 다음에는 영업 담당자로서 무엇을 해야할지 막연하기만 합니다.

 


[내가 궁금한 것은?]

1. 내가 담당하고 있는 대리점은 어떤 상태인것인가? 매출이 늘었다, 줄었다는 정보 외에는 조금 더 구체적인 상황은 알 수 없을까?


 

이럴 때, 이 분산형 차트를 이용해서 전체 대리점 대비 내 대리점의 상황을 간단하게 파악해보는 과정을 따라해보겠습니다.

 

오늘 따라하기 과정은 아주아주 쉬우니까, 부담없이 들어주시면 좋겠어요.

그럼 시작합니다~!

(오늘 강의 전체 과정은 길지만 2부에는 그래프를 해석하는 내용만 담고 있어요.

1부와 2부를 따로 시청하셔도 무방하니,

그래프 그리는 법을 보고싶으신 분은 1부를, 해석하는 것만 듣고 싶으신 분들은 2부를 들어주세요~)

 

 

 

 

1. 그래프 그리기

...더보기

 

   (1) 데이터원본에 접속하고 새 통합문서 열기

       : 사이트(bi.fursys.com) 접속 → 탐색  → 99. Tableau sample → 태블로 그까짓거 껌이지! → 대리점별 매출 특성을 파악하는 분산형 차트

   (2) '계산된 필드 만들기'를 활용하여 [고객수] 만들기 : countd([납품처주소])

     ※ countd() : 중복은 제외하고 유일한 값이 몇 개인지를 세는 함수

     ※ count() : 중복을 포함한 모든 값의 갯수를 세는 함수

   (3) '계산된 필드 만들기'를 활용하여 [객단가] 만들기 : sum([매출액])/고객수

   (4) 차원의 [대리점], 측정값의 [매출액],[객단가]를 동시에 선택하고 우측 상단의 '표현방식'에서 '분산형 차트'를 클릭

   (5) [매출년도]를 필터에 넣고 상단의 '년도'를 선택한 다음, 표시형식을 '단일값(목록)'으로 변경하여 2012년도 선택

   (6) '그룹'만들기를 활용하여 [담당대리점] 차원 만들기 : '태릉묵동2', '기타' 로 그룹 생성

   (7) [담당대리점]을 '마크'의 '색상'에 끌어놓고 '자동'을 원형으로, 색상을 원하는 색상으로 변경하여 보기 좋게 다듬기

   (8) 가로축과 세로축 모두 '축편집'에서 '범위'를 '고정'으로 선택하고, 연도를 바꿔가면서 대리점의 위치 확인하기

 

 

2. 분산형 차트 해석하기(13:56~)

...더보기

 

   <해석1 : 특이점 찾기>

   (1) 전체 분포에서 경향을 벗어나는 특이점을 찾고 해당 대리점의 결과 요인을 점검하기

     : 논현점 - 객단가는 유사한데, 매출이 크다 → 고객 수가 매우 많다 → 고객을 어떻게 많이 모았을까?

     : 춘천2 - 객단가가 높다 → 어떻게 한 고객에게 많은 매출이 발생하게 할 수 있었을까?

 

   <해석2 : 전체 분포 대비 구분별 분포 확인하기>

   (1) 특이점 제외하기

   (2) '분석'탭의 '4분위수 및 중앙값'을 끌어서 '테이블'의 행,열 모두 위에 놓기

     : 4분위수 - 각 항목의 값을 순서대로 나열한 뒤, 갯수의 분포를 25%, 50%, 75%, 100%로 구분한 것

     : 중앙값 - 값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나열된 순서의 가운데에 해당하는 값

   (3) 영역 참조 '편집'을 눌러 '선택된 데이터의 구간 다시 계산'의 체크박스 해제

   (4) 구분별로 확인하고 싶은 내용을 '마크'의 '색상' 위에 끌어놓기

   (5) 우측 색상범례 표시를 눌러서 전체의 분포대비, 해당 부분의 분포가 어떤식으로 이동하는지 확인하기

 

※ 단계별 설명 파일 새창에서 열기

 

 

 

분산형 차트, 생소하지만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감이 좀 오시나요?ㅎㅎ

 

이번 강의에서 느끼셨겠지만

데이터 시각화를 활용하면 보고서를 예쁘게 작성할 수 있다는 기본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우리가 다음 액션플랜을 세우는데 상황을 빠르게 파악하고 가설을 세우는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어요.

사실 두번째 역할이 강력한 힘을 발휘하기도 하고요.

 

태블로는 그 과정을 도와주는 도구에 불과해요. 하지만 좋은 도구를 잘 사용하면 효율을 엄청 올릴 수 있죠.ㅎㅎ

데이터를 다루는 것이 익숙해지는 그 날까지, 저희 팀이 도와드릴께요!

화이팅!!